회화에서 인테리어, 건축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등장한 흐름선의 중요성과 이를 흐름선의 적용 변화를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회화에서 인테리어, 건축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등장한 흐름선
고딕 랭스 대성당과 파리의 노트르담 성당
회화에서 인테리어, 건축으로 넘어가는 상황에서 흐름선이라는 개념이 중요하게 작용을 했습니다. 예를 들어 고딕 랭스 대성당과 파리의 노트르담 성당을 비교하여 볼 때 유사한 시기에 지어진 이 두 가지의 건물이 거의 유사한 구축법과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미묘하게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랭스 성당이 가지고 있는 입면은 노트르담 대성당에 있는 입면보다 더 수직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수직선들이 끊기지 않고 솟아오르며 조금 더 가늘며 진동하는 듯한 형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느낌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2가지 정도가 있는데, 일단 같은 굵기의 기둥이라고 하더라도 랭스 성당은 기둥에 세밀하게 주름을 만들어 더욱 가느다란 모습의 다발로 표현을 했습니다. 그래서 작은 부재 덩어리가 건물을 이루는 모습으로 만들었습니다. 다른 하나는 건물을 전체를 관통하는 강력한 수직 요소를 흐름선으로 하고 있으며 반대로 노트르담 성당에서는 수평선을 사용하면서 끊어갑니다. 그래서 더 엄격하고 딱딱한 느낌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수직과 수평의 선들은 건물의 인테리어나 건축물의 느낌에 영향을 주는 가장 기본적인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르네상스 시대의 플로렌스에 위치한 메디치 리카르디 궁전
플로렌스 지역에 위치한 메디치 리카르디 궁전은 르네상스 시대의 대표적인 건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궁전의 벽이 상당히 독특한 느낌을 주는데, 1층, 2층, 3층 부분의 벽면의 질감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1층의 벽은 상당히 거친 돌 마감을 가지고 있어 건축에서 기단 부인 부분에 대한 표현을 하고 있고 중간 부분에는 돌 다듬 쌓기, 최상부는 매끄러운 벽면 처리를 해놓았습니다. 리카르디 궁전은 그리스 로마 시대의 기단부와 몸통, 최상부를 재현해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기단부는 육중한 느낌을 주어 영원불변할 것 같은 표현을 위해 재료 본연의 거친 질감을 강조하였으며, 최상부로 가면서 탄탄하면서도 가벼운 느낌을 표현해 놓았습니다. 동시에 르네상스 시대 본연의 모습인 수평선이 강조되는 것과 인본주의의 모습을 포함시켜 수직으로 가려는 힘을 의도적으로 차단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일리노이 기술협회의 건물과 보스턴 시청사 디자인과 인테리어
일리노이에 위치한 기술 협회 건물은 입면이 유리로 만들어져 판판하면서 매끄러운 마감으로 건축되었습니다. 일리노이 기술협회 건물은 언제든지 해체를 하여 다른 기능으로 만들거나 건물이 없어지고 새로운 기능을 할 것만 같은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일리노이 기술협회 건물 바로 오른쪽에 위치한 보스턴 시청사의 경우에는 건물 표면을 육중한 콘크리트 마감 처리를 하여 표면을 울퉁불퉁하게 만들고 긁어서 처리하는 방식을 통해 굳건한 이미지로 영원불변할 것 같은 건물의 느낌을 가지고 있습니다.
렘 콜하스 부속 건물의 건물 디자인과 인테리어
렘 콜하스 부속 건물의 경우 두 개의 디귿자 형태의 건물이 서로 맞물려 있는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에 있는 대강당과 위쪽에 위치한 휴게 공간이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이 외부에 그대로 직접적으로 노출이 되면서 흐름선이 건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건물 내부의 기능과 프로그램을 미리 스캔하고 건물 안으로 들어가게 되며 건물 내에서 본인이 가야 하는 공간을 바로 찾아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았습니다. 이와 반대로 지붕에 있는 흐름선은 스카이라인을 능동적으로 적용하면서 건물이 주변의 환경과 잘 어울린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유연하게 흘러가는 흐름선을 구축해 놓았습니다. 이 흐름선을 표현하기 위해 처마선들을 돌출시켜 놓았고 아래 부분들을 후퇴하거나 공급하는 음영을 남겨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현대 건축에서 사용하고 있는 독특한 흐름선 표현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미술의 추상화 개념이 인테리어와 건축에 준 영향 (0) | 2022.03.01 |
---|---|
인테리어 및 건축물과 미술의 통합 트렌드와 자연환경과 하나되는 인테리어 예시 (0) | 2022.02.28 |
덴마크가 조명 인테리어가 발달한 이유와 대표 기업인 루이스폴센 제품 정리 (0) | 2022.02.23 |
회화의 발전이 인테리어, 건축에 미친 영향에 대한 정리 (0) | 2022.02.21 |
한국 전통 주택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다양성과 인문학적 집 짓기의 기본 소양 (0) | 2022.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