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트렌드

현대미술의 추상화 개념이 인테리어와 건축에 준 영향

by 인텔리어 2022. 3. 1.

현대미술의 추상화 개념이 인테리어와 건축에 준 영향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미술의 트렌드

현대미술의 상징과도 같은 인물, 앤디 워홀

현대 미술로 넘어와 미술사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온 작가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은 앤디 워홀일 것입니다. 미국은 사실 문화가 일천한 편에 속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언제나 본인들의 문화 중 조형예술 분야를 궤도에 올리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여옵니다. 미국의 역사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비교적 짧기 때문에 1차 세계대전과 2차 대전이라는 큰 전쟁을 피해 이민을 온 많은 철학자들이나 미술가들을 받아들여 자국의 조형 예술을 발전시켜갑니다. 이렇게 유럽 쪽에서 건너간 화가들로부터의 단순한 영향력을 벗어나 1960년대부터 새로운 조형 예술 문화사를 써 내려간 인물이 바로 앤디 워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앤디 워홀의 예술의 대중화 

앤디 워홀은 판화를 사용한 작품들을 많이 만들어냈는데, 앤디 워홀의 주장 중 가장 강력한 것 중 하나는 미술품 공장을 만들어내자는 것이었습니다. 미술품도 특권 계층의 개인 소유물이 되는 것이 아니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무한 복제가 가능하고 저렴한 상품이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예술가들은 스스로 본인들의 경제적인 부를 보호하기 위해 진품 제도를 철저하게 운영을 하고 있는데, 판화 같은 경우에도 7~9판 정도까지만 진품으로 인정하고 나머지의 경우 진품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은 매우 신선하게 세계를 놀라게 했습니다. 현재에도 세계 미술 경매장에서 가장 비싼 가격에 판매되는 그림이 앤디 워홀의 그림이라는 것은 조금 아이러니하긴 하지만 미술품의 대중화라는 측면을 강조하는 선구자의 역할을 자처했던 사람이라는 점에서 독특한 주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예술의 선구자, 백남준 선생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예술가는 백남준 선생님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예술의 선구자라고 할 수 있는 백남준 선생님은 매우 유명한 전략가였습니다. 뉴욕 현대미술관에 작품이 전시될 경우 그 누구라도 이름이 잘 알려지지 않은 무명 화가에서 곧바로 세계 유명 스타가 될 것이라는 것을 익히 알고 있었습니다. 또한 미디어 매체가 가지고 있는 힘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앤디 워홀이 했던 것처럼 새로운 도구이자 새로운 재료가 될 수 있는 미디어 매체를 살아있는 예술품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것을 직감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백남준 선생님은 모든 전략을 총동원하여 뉴욕 현대미술관 전시회를 열게 됩니다. 백남준 선생님의 비디오 아트의 경우 앤디 워홀이 이야기한 무한 복제라는 대중성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준 미술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 것으로 회화, 예술품은 중요한 변곡점들을 거치며 발전을 하였고, 인테리어와 건축과 상호작용을 해오고 있습니다. 

 

 

현대미술의 인테리어화 

반 데어 로에의 시도

이러한 추상적 예술품들이 인테리어나 건축에 영향을 주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건축가 미스 반 데어 로에라는 사람은 여러 컷의 그림을 그린 뒤 건물을 건축하고 인테리어 하고자 하는 현장의 배경이 되는 사진들과 내부 공간을 콜라주 하여 투시도 효과를 평면으로 치환합니다. 마치 한국의 전통 건축 양식 중 기둥을 사이에 두고 멀리 존재하는 경치를 차경하여 기둥 사이 보이게 하는 것과 비슷한 것입니다. 캔버스 안에 공간의 깊이감이 있고, 미스 반 데어 로에는 공간의 깊이감을 착시를 일으키면서 산이 거리가 있는지 아닌지 알아채기 어렵게 인테리어를 하는 것입니다.

 

 

인테리어 기법의 활용 이유

이러한 인테리어 기법을 활용하는 이유는 실제 경치와 건물 안에 있는 내부 인테리어 그림과 벽면이 멀리 떨어져 있지 않고 외부의 경치가 마치 내 건물의 내부 안에 인테리어로 작용하는 듯한 착각을 주기 위함입니다. 평면적이 압축을 통해 창틀과 그림과 그림 간의 경계 구획을 줄이는 인테리어를 통해 볼륨감을 없애는 작업을 했습니다. 건물의 명암을 극명하게 하여 서로 병치가 되어 있는지 분간하기 어렵게 하여 회화의 평면적 콜라주를 인테리어화 건축화하는 작업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