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가 조명 인테리어가 발달한 이유와 인테리어 조명 대표 기업인 루이스폴센 제품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덴마크가 조명 인테리어가 발달한 이유
덴마크 조명 브랜드 루이스폴센은 147년 전통을 자랑하는 기업입니다. 전등갓이 선사하는 아늑함과 눈부심 없는 은은한 빛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874년 설립된 루이스 폴센은 다른 제품 종류는 전혀 없이 오로지 조명 하나로만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온 기업입니다. 덴마크는 1년 중 9달이 겨울이라고 합니다. 겨울이 긴 만큼 낮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채광량이 상당히 부족합니다. 결과적으로 긴 겨울밤에 실내에선 인공적인 빛을 사용할 수밖에 없습니다. 19세기 말에 만들어진 밝고 연기와 냄새가 없고 안전한 전기 조명이 덴마크 사람들에게는 너무나도 필요했던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전기 조명이 주는 빛의 한 가지 단점은 빛이 지나치게 밝다는 것이었습니다. 이것을 폴 헤닝센이라는 자연스러움을 추구했던 실내 인테리어 전문가가 개선을 시작합니다.
아름다운 조명을 만들기 위한 폴 헤닝센의 노력
폴 헤닝센은 기술학교를 다니던 시절인 18세기부터 빛을 연구했다고 합니다. 1년 반 동안 암실에서 깜빡임, 눈부심, 밝은 부분, 어두운 부분의 극단적인 경계 등 전기 조명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고자 수학적인 접근을 통해 빛의 각도를 실험했다고 합니다. 폴 헤닝센은 오랜 실험을 통해 1927년 본인의 이름인 폴 헤닝센을 붙여 만든 PH 조명을 만들어냅니다. PH 조명은 전등갓이라는 핵심 요소가 있는데, 지름 비율을 4:2:1로 하여 세장의 전등갓을 사용하여 광원으로부터 37도 각도로 빛이 부채꼴로 닿게 된다고 합니다. 세 겹의 전등갓을 통해 빛이 50%, 25%, 25%로 나누어져 반사되기 때문에 눈부심을 줄여주면서 심미적으로도 아름다운 빛이 방전체에 퍼져나가도록 만들었습니다.
루이스폴센의 대표 조명 PH5
PH 조명은 스탠드로 시작하여 플로어, 펜던트, 샹들리에 등 다양한 시리즈를 만들어나가며 지금까지도 루이스폴센이 자랑하는 대표적인 상품으로 자리매김합니다. 폴 헤닝센은 훌륭한 조명을 경험하게 되면 새로운 삶의 가치로 가득 차게 된다는 말을 하였는데, 루이스폴센은 단순히 램프를 디자인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빛의 형상화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노력했습니다. 폴 헤닝센은 질리지 않는 아름다움이라는 수식으로 인지도가 높은 PH5 조명 이후 빛의 음영을 즐길 수 있도록 설계가 된 PH스노볼, 엉겅퀴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PH아티초크 등 100개 이상의 다양한 조명을 디자인합니다.
루이스폴센의 파테라 탄생 배경
루이스폴센은 조명을 디자인해내는 과정에서 우수한 디자이너의 영입과 그들과의 협업이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를 깨닫게 됩니다. 그래서 기능적임과 동시에 아름다운 디자인을 위해 다양한 유명 디자이너들과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루이스폴센이 만들어낸 것이 파테라라고 합니다. 파테라는 아이 엔드 스피커 브랜드이자 뱅 앤 올룹슨의 디자이너로 유명한 오이빈드 슬라토와 협업을 했다고 합니다. 오이빈드 슬라토는 루이스폴센의 의뢰를 받은 이후 빛의 본질을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폴 헤닝센이 처음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눈부신 빛을 차단하면서도 투과광과 반사광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눈이 편하고 아름다운 조명을 만들어내고자 했습니다. 오이빈드 슬라토는 샹들리에를 모티브로 하여 아름다움을 살리고 조명 아래와 사방으로 빛이 균등하게 비칠 수 있도록 구 형태로 만들게 됩니다. 멀리서 보면 평범한 구 형태로 보일 수 있지만 가까이 가서 관찰을 하면 복잡한 나선이 겹쳐져서 만들어진 형태로 오이빈드 슬라토는 자연 세계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피보나치수열을 이용하여 황금비율을 적용한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렇게 탄생한 파테라는 루이스폴센의 대표 제품인 PH5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는 제품입니다.
루이스폴센의 고객 소통 방식
루이스폴센은 다이내믹 웹이라는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만들고 소비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루이스폴센의 디자인과 품질을 알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전체 제품 소개서를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소비자들은 다양한 제품을 더욱 손쉽게 비교하고 구매가 가능해졌습니다. 오프라인 접점을 늘리기 위해서도 노력했는데, B2B에 집중하는 다른 기업들과는 다르게 코펜하겐에 조명과 인테리어가 어우러진 큰 규모의 쇼룸을 설치했으며, 주요 도시에 직영 매장을 설치하여 직접적으로 루이스폴센의 조명을 소비자들이 경험할 수 있도록 운영합니다.
'인테리어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미술의 추상화 개념이 인테리어와 건축에 준 영향 (0) | 2022.03.01 |
---|---|
인테리어 및 건축물과 미술의 통합 트렌드와 자연환경과 하나되는 인테리어 예시 (0) | 2022.02.28 |
회화에서 인테리어, 건축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등장한 흐름선의 중요성 (0) | 2022.02.22 |
회화의 발전이 인테리어, 건축에 미친 영향에 대한 정리 (0) | 2022.02.21 |
한국 전통 주택이 가지고 있는 구조적 다양성과 인문학적 집 짓기의 기본 소양 (0) | 2022.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