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상식

도시 설계와 건축의 인테리어 철학과 랜드마크가 도시 브랜드 형성에 기여하는 의미

by 인텔리어 2022. 3. 8.

도시 설계와 건축의 인테리어 철학과 랜드마크가 도시 브랜드 형성에 기여하는 의미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시 설계와 건축의 인테리어 철학

타지마할 건축 철학

알랭 드 보통의 행복의 건축의 서문에 나온 이야기에는 타지마할 건축과 인테리어에 대한 이야기가 쓰여있습니다. 타지마할을 만든 이는 사랑하는 아내가 딸을 낳고 몇 시간이 지난 후 하늘나라로 떠났으며, 슬픔에 2년간 어떤 일도 하지 못하던 중 아내를 위한 멋진 무덤을 만들겠다는 결심을 했다고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명성 있는 건축가들을 불러 설계를 하게 하고 인테리어를 하게 했으며, 2만 명에 이르는 기술자들이 붉은 사암의 아치형 문과 300미터에 이르는 수로를 만들고 연꽃 모양 수조를 인테리어 했으며, 세계 많은 나라에서 하얀 대리석을 수입하고 온갖 보석을 사용하여 건물 인테리어를 하게 됩니다. 22년이라는 엄청난 시간을 걸쳐 마침내 무덤을 완성했고 그 이름을 찬란한 무덤이라는 의미인 타지 마할이라고 지었다고 합니다.

 

 

알랭 드 보통은 철학을 대중에게 친숙하게 만들어주기 위한 대중화를 한 유명한 현대 철학가입니다. 이 행복의 건축이라는 책의 서문에 쓰인 이야기는 건축과 인테리어에 있어 어떠한 철학적 자세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를 잘 정리해주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건축과 인테리어라는 것을 단지 기능을 집합해 놓은 공간이나 효율성만을 강조하는 단계를 넘어서 무언가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과거에는 주택을 살기 위한 기계라 묘사하기도 했지만 이제는 쾌적하고 편리한 주택 건축을 위한 충분한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편리성을 넘어선 철학이 필요합니다. 

 

 

도시 건축과 인테리어에 있어 고민해야 할 철학

도시 계획에 있어서 도시를 하나의 브랜드로 만들고 방문객들이 도시를 사랑스러운 제품처럼 느낄 수 있는 시대가 되었으며, 이러한 좋은 도시를 만들어가기 위해 도시 계획과 건축, 인테리어 등의 계획해야 할 것입니다. 다만 여기서 도시 계획과 도시 경관 계획에는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는데 도시계획이라는 것은 애당초 아무것도 없는 지역을 유입될 인구 예상을 통해 도로를 건설하고 상업지구, 공업지구, 주거지구 등으로 나누어 효율적으로 계획을 짜는 것이 도시계획입니다.

 

 

반면 도시 경관 계획은 이미 건설된 도시가 업그레이드를 할 필요가 있거나 노후한 된 곳을 리모델링하며 숨기고 싶은 지역을 가리고 자랑하고자 하는 부분을 내세워 홍보하고자 할 때 짜는 것을 도시 경관 계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시 경관 계획으로 건물들의 색채를 정비하고 인테리어 한다거나 옥외 광고물을 정비하거나 낙후된 도심 재개발을 하는 계획이 있을 수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는 도시 브랜드를 만드는데 도시 경관계획이 아주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랜드마크가 도시 브랜드 형성에 기여하는 의미

미국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이 가지는 랜드마크로서의 의미

도시를 하나의 브랜드로 바꿔주는 효율적인 방법은 랜드마크를 만드는 것입니다. 랜드마크는 자본만 있다면 누구나 할 수 있기 때문에 랜드마크는 단순히 존재하는 것이 아닌 랜드마크와 도시 사이의 수많은 이야기를 함께 넣어주는 스토리텔링 능력도 있어야 합니다. 미국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 호주 시드니의 오페라 하우스, 프랑스 파리의 에펠탑 등 다양한 랜드마크들이 존재합니다. 자유의 여신상은 한 번쯤은 누구나 꼭 가보고 싶은 장소일 것입니다. 멋지고 규모 있는 상징물이며 자유의 여신상을 프랑스가 선물해주는 과정도 흥미롭습니다. 프랑스가 미국에 거대한 동상을 선물한 이유는 한국과 일본의 관계와 같이 프랑스와 영국은 라이벌과 같은 관계에 있는 나라이며, 프랑스는 본인들이 세계의 민주주의를 견인했다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나라였기에 영국으로부터의 미국의 독립을 축하하기 위해 선물을 합니다. 독특한 스토리텔링이 가능한 랜드마크가 되는 것입니다. 

 

 

호주의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가 가지는 랜드마크로서의 의미

호주의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는 도시 계획 과정에서 만들어졌는데, 바다에 호주의 짧은 역사를 극복하기 위해 상징적인 랜드마크로 건설한 것이 오페라 하우스였습니다. 오페라 하우스의 상징적인 모습에 대해 건축가는 직접적인 언급을 회피합니다. 이로써 시드니의 사람들은 오페라 하우스의 모습에 대해 거북이들이 서로 등에 업고 있는 모습이라고 말하기도 하고 돛단배 형태를 말하기도 하고 조개, 어패류를 상징하는 못브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시드니의 사람들은 오페라 하우스와 관련한 다양한 이야기들을 계속해서 만들어내며 본인들의 삶의 일부로 만들어갑니다. 랜드마크가 생명력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꾸준히 많은 사랑을 받게 되는 장소가 되어가는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