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적 자산의 원형 보존 사례와 대구의 인테리어 리모델링을 통한 재활용 사례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축적 자산의 원형 보존의 사례
울릉도의 100년 된 관사의 보존
울릉도에 있는 관사는 100여 년이 된 관사입니다. 100년의 세월을 간직하고 있는 관사를 보존해둔 것인데, 건축적 자산을 가장 손쉽게 보존하는 방법은 원형 보존입니다. 원형을 그대로 보존을 하고 그 안에 있는 인테리어나 물건들도 당시의 생활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이 방번은 사실 가장 손쉬우면서도 어려운 방법일 수 있습니다. 이유는 이렇게 해 어떤 자산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전의 원형들이 훼손되지 않고 최대한 많은 것들이 그대로 남아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이렇지 못할 경우 역사적인 검증을 통해 비싼 경제적 대가를 치른 뒤 재복원을 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원형 보존을 가장 손쉬우면서 어려운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와 이순신 장군의 동상
원형을 보존하는 방식 중 조금 더 특별한 방식 사례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최초 이순신 장군의 동상과 우리나라의 유일한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가 있습니다. 이 두 가지의 역사적 조형물의 경우 진행에 있는 북원 로터리와 남원로터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양쪽 로터리에 서로 마주 보며 있는 두 개의 조형물은 물리적으로 자원의 보존 정도가 매우 좋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좋은 상태를 가지고 있는 자산의 경우 그래도 장소에 옮겨 보존을 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 두 가지의 자산은 조금 더 특별한 방식을 사용하여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역사적 조형물에 스토리를 입힌 것입니다. 이순신 장군의 동상은 우리나라 최초로 시민들의 자발적인 성금에 의해 만들어진 동상입니다.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의 경우 김구 선생님이 이순신 장군의 칼에 존재했던 시비를 본인의 친필 시를 써서 놓아둔 것을 진해 지역의 유지들이 김구 선생님의 뜻에 따라 그것을 비석으로 다시 제작을 한 것입니다.
김구 선생님 친필 시비의 이전
김구 선생님은 해방이 된 이후 전국을 돌아다니며 국민들에게 희망을 심어주는 일을 하셨는데, 얼마 이후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가 진해 북원로터리에 세워지게 되고 이후 이승만 대통령이 진해를 다시 방문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승만 대통령이 북원 로터리에 있는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를 보고 저게 뭐냐고 물었고,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인데 지역주민의 뜻에 따라 세워놨다고 설명을 합니다. 김구 선생님과 이승만 대통령은 강력한 라이벌 관계에 있던 사이로 이승만 대통령이 불편한 기색을 표시했고 밑의 장교들이 긴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를 북원 로터리에서 떼어 들판에 버려버리는 일이 벌어집니다. 그리고 얼마 뒤 그 자리에 이순신 장군의 동상을 세우게 됩니다. 아이러니한 역사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는 이순신 장군의 왜적의 필로 물들여 일본인들을 떨게 만들겠다고 한 시를 담은 것이었습니다.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는 들판에 버려지고 이순신 장군의 동상으로 대체가 된 것입니다.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의 복원
이후 4.19 혁명이 벌어져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를 한 이후 다시 김구 선생님의 친필 시비가 시민들의 손에 의해 수습이 되어 지금의 위치인 남원로터리에 세워집니다. 그래서 그 이후 현재까지 이 두 역사적인 조형물은 서로 마주 보고 위치하게 된 것입니다. 흥미로운 한국의 근현대사의 역사 이야기를 담고 있는 조형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구의 인테리어 리모델링을 통한 재활용 사례
근대 문화유산 활용 사례
대구에 있는 사례들도 있습니다. 대구에는 근대의 문화유산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현대의 도시 자산이자 인테리어로 활용한 사례가 상당히 많이 존재합니다. 50년 된 건물 인테리어를 리모델링하여 건물 바로 뒤편에 위치했던 일본식 건물과 연결하여 1층은 카페로 활용하고 2층은 식당 겸 카페, 3층은 전시관으로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외관은 매우 평범한 1960년, 1970년대 건물이지만 내부 인테리어를 현대식으로 변화하여 시민들이 내부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케이스입니다.
지하의 방공호 활용사례
지하에 있었던 방공호를 와인 저장고로 만들어 활용을 하기도 하는 건축적으로 주목할만한 성과를 내기도 합니다. 오래된 건축 자산들을 활용한 재미있는 아이디어들이 인테리어와 리모델링을 효과적으로 변화시켜 역사의 흔적을 고스란히 보여주면서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테리어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인테리어, 건축적 발달을 보여주는 상하이 문화 창의 산업 센터 (0) | 2022.05.02 |
---|---|
한국의 기존 건축, 인테리어 자산을 활용한 개발 사례 정리 (0) | 2022.04.24 |
상상력을 기반으로 창조한 건축과 인테리어,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된 수원 화성의 아름다움 (0) | 2022.04.06 |
도시적 가치, 건축적 가치를 복원하는 일, 대표적 예시인 경상남도 진해 흑백다방 (0) | 2022.04.03 |
해외의 리모델링과 인테리어를 통한 기존 건물 활용 방법과 국내 사례 (0) | 2022.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