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의 이상향인 놀고 싶은 공간을 구현한 해외 및 국내 사례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건축의 이상향인 놀고 싶은 공간을 구현한 해외 및 국내 사례
건축과 인테리어의 가장 이상향인 놀고 싶은 공간, 놀고 싶은 도시, 놀고 싶은 집을 만들어 둔 해외 사례와 국내에 이를 잘 구현해둔 사례들을 살펴보고 어떤 방식을 사용하여 성취를 하게 되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페인의 코르도바라는 도시가 있습니다. 앞서 도시의 랜드마크들에 관한 글을 작성하면서 스페인의 코르도바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프랑스 파리와 스페인 발렌시아가 추구한 랜드마크와 건축 및 인테리어 방식
프랑스 파리와 스페인 발렌시아가 추구한 랜드마크와 건축 및 인테리어 방식
각 도시는 개별적인 특성과 랜드마크를 통해 도시를 홍보하고 독창적인 건축양식과 인테리어를 만들어 나가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도시가 프랑스의 파리이고, 또 최근에는 스페인의 발렌시아
interioroom.tistory.com
스페인 코르도바의 꽃의 거리
스페인의 코르도바는 스페인의 대도시들 옆에 있는 작은 도시이기에 도시가 경쟁력을 갖추고 살아남기 위해서는 확실히 다른 방법을 추구할 필요성이 있었습니다. 코르도바도 물론 전통이 있고 역사와 유서가 싶은 도시라고 할 수 있지만 다른 도시들에 비해 규모가 작은 것도 사실입니다. 그래서 코르도바에서는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도시의 대표적인 상품을 만들자는 제안을 하게 됩니다. 그래서 코르도바에 유명해진 지역 중 하나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조성한 꽃의 거리가 있습니다. 코르도바라는 도시에는 꽃이 피어 있는 화분을 걸어둡니다.
그래서 굉장히 유명한 지역 상품이 되었습니다. 꽃의 거리로 인해 도시가 유명세를 얻었는데, 코르도바에 있는 건물의 벽은 대부분 하얀색인데, 노란색 꽃이나 빨간색 꽃들이 도시에 사시사철 다 피어 있습니다. 이런 도시에 가서 관광을 하고 걸어 다니면서 구경을 하면 너무 행복한 기분이 들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비슷한 사례가 오스트리아에 또 있습니다. 간판 거리와 같은 지역입니다.
경상북도 안동의 군자마을의 클래식 공연
스페인 코르도바와 비슷한 국내 사례도 있습니다. 경상북도 안동에 있는 군자 마을이라는 곳의 사례입니다. 군자 마을은 한옥 마을인데, 흥미로운 것은 한옥마을에서 언제부터인가 클래식 연주를 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한옥과 클래식 연주는 뭔가 어울리지 않는 것 같지만 사람들은 이 비 조화스러움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이곳에서는 사찰 음악회나 한옥에서 열리는 가정 음악회 등이 열리는데, 관객들 숫자도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지만 그만큼 조용하게 편안한 분위기에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고 합니다. 조용한 곳에서 해 질 녘에 사찰 산사에 앉아서 노을을 바라보며 클래식 연주를 듣는다는 상상을 해보면 이보다 좋은 경험은 없을 수 있습니다. 다녀온 사람들이 인생 최고의 경험 중 하나였다고 말할 정도로 좋은 평가를 받습니다.
또 사찰에서 클래식 연주가 일어나는 안동 군자마을의 사례와는 완전 반대로 서울의 명동성당에서는 판소리 공연을 하거나 그림 전시를 하게 됩니다.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상당히 독특한 아이디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서양을 뛰어넘고 장르를 넘나 들면서 공연을 하게 되면서 시민들도 즐겁게 공연을 하고 즐길 수 있는 자리가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자발적 도시 회복을 위한 시민들의 노력
스페인 코르도바의 꽃의 거리나 안동 군자마을에서의 클래식 공연은 모두 자발적으로 도시를 살리기 위해 시민들이 직접 내놓은 아이디어들입니다. 원래 존재해왔던 마을의 모습에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생각해서 시민들 스스로 이를 실천하면서 마을을 살려내는 좋은 사례들인 것입니다. 마을 공동체가 동의만 하면 얼마든지 가능한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시적 가치, 건축적 가치를 복원하는 일, 대표적 예시인 경상남도 진해 흑백다방
도시적 가치, 건축적 가치를 복원하는 일, 대표적 예시인 경상남도 진해 흑백다방
도시적 가치, 건축적 가치를 복원하는 일, 대표적인 예시인 경상남도 진해 흑백다방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시적 가치, 건축적 가치를 복원하는 일 오래된 건축 자산의 인테리어 재
interioroom.tistory.com
'인테리어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자나무 주변공간 활용, 창원 사파동의 보리밭 등 주권 회복 사례 소개 (0) | 2022.05.20 |
---|---|
하천 살리기 운동과 통영의 동피랑 마을 개발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공간주권 회복 (0) | 2022.05.13 |
샌프란시스코, 리버풀, 유후인 마을이 가진 공통점과 공간의 주인이라는 개념 (0) | 2022.05.09 |
인테리어의 기본이 되는 도미노 삽화와 인테리어의 과학적 발전에 대한정리 (0) | 2022.05.05 |
재료의 발전을 통한 인테리어 발달과 국제주의 건축 양식 수립 (0) | 2022.04.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