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발렌시아의 걸리버 공원의 상상력과 한국에 주는 교훈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페인 발렌시아의 걸리버 공원의 상상력과 한국에 주는 교훈
스페인 발렌시아의 걸리버 공원이라는 곳이 있습니다. 구글 지도에 걸리버 공원을 검색해보면 거대한 사이즈로 누워 있는 사람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스페인 사람들은 걸리버 공원을 실제 인간 사이즈 100배가 넘어가는 엄청난 스케일로 공원을 만들어 놓았습니다. 머리카락 사이는 어린이들이 미끄럼을 타고 내려올 수 있는 미끄럼틀이 되기도 하고 옷 깃 사이사이에서 숨바꼭질을 할 수 있습니다. 걸리버를 묶어 둔 밧줄은 아이들이 밧줄을 타고 올라가는 놀이기구들이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누군가가 걸리버 공원을 제안하여 환경 조형물 형태로 제작을 한다고 상상을 해본다면, 일단 아마 공무원들이 할 수 있는 첫 반응은 여기서 아이들이 놀다가 떨어져 다치게 되면 누가 책임을 질 것이냐는 질문일 것입니다. 이런 반응을 예상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우리나라의 보수적인 공무원들과 건축계의 현실일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이러한 반응들이 중요하지 않은 반응은 아니고 반드시 신경을 써야 할 부분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떨어진다면 다치지 않게 하는 방지책도 분명 마련을 하기는 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방지책으로는 최종 마감재는 바닥이 모래처럼 보이고 있는데 아래를 치워보면 마지막에 있는 모래 아래쪽에는 아주 굵은 종류의 톱밥이나 더 굵은 나무 편자 조각들이 있고, 마지막에는 우레탄이 깔려 있다고 합니다. 상상력을 현실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과정들에서 충분한 대비책을 가지고 용인해줄 수 있는 열린 마음들이 저런 걸리버 공원 같은 멋진 건축과 인테리어가 가능하도록 만들었다고 생각이 됩니다.
상상의 틀을 깨고 나와 새로운 방식 적용
도시를 조금 더 특별하게 만들고 싶은 마음과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마음이 있다면 상상의 틀을 깨고 나와야 합니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 등을 여행하면 볼 수 있는 놀라운 건축물이나 인테리어적 요소들이 많지만 스페인 마요르카에 있는 드라크 동굴은 놀라운 장면을 보여주는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마요르카는 우리나라로 치면 제주도와 유사한 입지적 위치나 위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는 도시입니다. 스페인의 동굴들이나 유럽에 있는 동굴들과 같은 멋진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는 곳은 그룹 관광을 많은 사람들이 오게 됩니다. 가족이 오더라도 더 많은 사람들을 모아 최소 10~20명 단위로 가이드가 동행하여 해설을 하면서 설명과 함께 여행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 들어가 관람을 하게 되면 아마도 실망을 하게 될지도 모르는데, 우리나라 강원도에 있는 굴들보다 입구 쪽은 그다지 인상적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20분 정도 이동을 하게 되면 가이드가 잠시 멈추면서 모두 자리에 앉아달라는 말을 하고 아주 캄캄하여 전체 공간을 알 수 없는 공간에서 의자가 준비되어 있어 그곳에 앉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캄캄한 공간에서 아무런 주문이 없이 잠시 시간이 지나게 되면 놀랍게도 암흑의 끝부분에서 한줄기의 빛이 나타나고 첼로 소리가 들리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다른 불빛이 서서히 나오면서 바이올린 소리도 나고 자세히 살펴보면 관현악 연주단이 호수 위에서 배를 타고 반대쪽에서 오케스트라 연주를 하며 관광객들에게 접근을 하는 것입니다. 배에 조명 장치가 달려있어 순식간에 동굴이 환해지면서 아름다운 연주로 물들어 갑니다.
자연환경이라는 완벽한 건축적, 인테리어적 요소의 활용
사실 이 동굴 안에는 어떤 인테리어 장치나 건축적 장치가 포함이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의 상상력에서 나오는 놀라운 프로그램이 아무것도 없는 동굴을 세상 그 어떤 곳보다 아름답게 만들어준 것입니다. 그러한 광경을 보았던 사람들 중 절반 이상은 눈물짓게 만드는 완벽한 카타르시스를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만든 것입니다. 오케스트라 연주가 끝나게 되면 관광객들은 배 위로 올라타 건너편 동굴 반대쪽으로 나가게 되는데, 사람들은 그곳에서 느낀 감동을 이야기하고 놀라움을 가지고 밖으로 나가게 됩니다. 자연이라는 수천 년 동안 유지해온 동굴 그대로의 환경을 살려서 순수 예술과 음악과의 접목을 통해 완벽하게 활용한 사례라고 생각이 되었습니다.
'인테리어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의 발전을 통한 인테리어 발달과 국제주의 건축 양식 수립 (0) | 2022.04.26 |
---|---|
과학기술이 현대의 건축과 인테리어에 미친 영향에 대한 정리 (0) | 2022.04.25 |
선유도 생태공원과 광주 양림동, 부산의 감천마을의 인테리어와 건축 요소 (0) | 2022.04.17 |
오스트리아 그라츠의 미술관, 일본의 노리타케 공원 등의 인테리어 아이디어 (0) | 2022.04.13 |
인테리어를 통한 새로운 공간 활용, 효율성 증대 사례 정리 (0) | 2022.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