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테리어 트렌드

항아리가 가진 아름다움과 임진왜란, 영국의 뉴캐슬의 낙후된 공단 지역 인테리어 사례

by 인텔리어 2022. 4. 8.

항아리가 가진 아름다움과 임진왜란과 영국의 뉴캐슬의 낙후된 공단 지역 인테리어 리모델링 사례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아리가 가진 아름다움과 임진왜란

우리나라의 조상분들 중 서민들이 많이 사용한 항아리입니다. 항아리이자 요강이기도 했는데, 역사가 매우 일천한 일본은 한국의 문화에 대한 동경을 가지고 있었고 한국 문화를 배우고자 하는 욕망이 매우 강했습니다. 임진왜란을 일컬어 도자기 전쟁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일본은 사실 우리나라 삼국시대 이후 본격적으로 문화가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국력을 키우기 시작한 일본은 임진왜란 직전에 일본을 평정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한국의 문화 정수라고 할 수 있는 도자기를 명분으로 하여 한국 침입을 하게 됩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국내 정치의 사정을 평정했으니 많은 수의 사무라이들이 조금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본인에게 칼을 들여댈지 모르는 상황이었고, 그래서 대부분의 국가에서 정권 강화책으로 사용하는 것 중 하나인 적을 외부로 돌리는 수단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일어나게 된 것이 임진왜란인데, 사실 우리나라의 도자기가 탐났기 때문에 본인들의 것으로 만들고 싶었던 욕망, 좀 더 넓은 의미로 보면 한국의 문화를 가지고자 했던 욕망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도자기 전쟁을 일으킬 만큼 아름다운 한국의 도자기

어찌 되었든 이들은 그토록 가지고 싶어 했고 부러워만 했던 도자기를 가지기 위해 전쟁을 일으킵니다. 항아리의 아름다움을 말로 설명을 해보자면 완벽한 굴을 형성하지 않고 아래쪽으로 조금 찌그러진 형태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서민들이 향유를 하는 문화가 이 정도인데 일본 사람들은 이런 것들을 얼마나 가지고 했을지 짐작이 갑니다. 항아리에서 볼 수 있는 저 곡선들은 고스란히 우리나라의 산의 곡선들을 그리고 건축물 곡선에 그대로 반영이 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마쿠하리 베이 타운 도시 조형물 및 인테리어 사례

일본의 마쿠하리 베이 타운의 도시 조형물과 인테리어를 보면 특별한 매력을 가진 곳도 있긴 합니다. 지하철과 상가를 표시하는 이정표가 있는데, 사이즈가 작은 것이라면 주머니 속에 넣어 가져오고 싶다는 사람도 많을 정도로 매력적인 인테리어와 디자인을 자랑합니다. 일본의 경우에는 많은 건물 인테리어에서 건물 윗면에는 광고판을 두지 않고 건물을 대표하는 광고판 하나를 두고 광고판 내부에 작은 상가들이 광고판을 넣고 있습니다. 광고판의 경우 가로 지하철 방향, 지역 지구의 방향을 알려주는 광고판이 있으며, 하마 모양의 벤치, 조형물은 시민들이 아무 때나 앉아 쉴 수 있는 의자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바닥의 패턴도 독특하고 특별하여 인테리어적으로도 훌륭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디자인들은 한때는 우리나라의 디자인을 두려워했던 일본이 많은 발전을 이루어냈다는 것에 대한 부분을 생각해보게 되며, 일본 디자인의 힘에 대해 배울 것이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게 됩니다.

 

 

영국의 뉴캐슬의 낙후된 공단 지역 인테리어 리모델링 사례

오래된 공단 지역의 슬럼화

영국의 뉴캐슬에서도 이러한 훌륭한 인테리어와 도시 조형물을 만나볼 수 있는데, 오래된 공단 지역에서 산업이 낙후가 되면서 공단 지역 주변이 슬럼화 되어 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폐쇄된 공장을 콘퍼런스 홀과 음악당으로 리모델링하면서 새로운 인테리어를 동 비하면서 도시 전체에 새로운 활력을 물어넣게 됩니다. 야간 조명을 아름답게 설치하고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조형물들도 세워두어 전반적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냅니다.

 

 

공단 지역의 리모델링

지역의 철거 바로 직전에 있었던 다리 또한 조명을 아름답게 설치하면서 새로운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만큼 새롭게 재탄생을 시켰습니다. 어린이용 수전과 가구들도 있는데, 전시회에도 나온 작품들이 많은 사람들을 매료시켰고 가구들을 사고 자하는 사람들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가격이 일반적인 가구나 어린이용 제품에 비해 서너 배가 넘는 가격에 형성이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가격과 상관없이 디자인의 힘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고 구매를 하도록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댓글